실버 2 찍었다. 근데 풀다보니까 더 이상 무지성 때려박기로는 안된다는 생각이 들어서 알고리즘을 공부하기로 했다. 1. 선택정렬 현재 위치에 들어갈 값을 찾아 정렬하는 배열이다. 인덱스 값을 증가 시키며 인덱스 이후의 최소값과 값을 바꿔주는 방식이며, 반복문을 두번 사용하기 때문에 시간복잡도는 N(O^2)이다. 파이썬 코드(오름차순) arr=[2,5,3,1,8,7,6,9,4] for j in range(0,len(arr)): low=arr[j] for i in range(j,len(arr)): if low>=arr[i]: low=arr[i] index=i arr[index],arr[j]=arr[j],low print(arr) 자바스크립트 코드(오름차순) 2. 삽입 정렬 현재위치에서 이하의 배열을 비교, ..
앞선 게시글에서는 디파이의 AMM에 대해 중점적으로 이야기했는데, 기본적으로 디파이는 기존의 금융에서 탈중앙화된 방식이다. 따라서, 은행이 해주는 모든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대출(Lending), AMM, 자산관리, 결제 등등 기존 중앙화된 은행서비스에서 탈중앙화됐다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플랫폼 코인이 다르다는 것은 은행이 다르다고 생각하면된다. 디파이의 시초격인 코인은 바로 이더리움이다. 이더리움은 스마트컨트렉트를 지원하는 가장 거대한 규모의 플랫폼이다. 혁신은 존재하는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과정 속에서 일어난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이 가진 고질적인 문제를 발견하고 ‘확장성’을 해결방안으로 제시하며 혁신적인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플랫폼은 유저가 많을수록 번..
지금까지 적은게 영 부실한거 같아서 다시 한번 정리해서 적으려고 한다. 무지성 노베이스 파이썬으로 6월 25일부터 시작했다. 오늘부로 9일차 아래는 문제로 쳐맞아가며 배운 소중한 내용들이다. 배운 점 1. map(적용시킬 함수, 적용할 요소들) 2. split() -> 공백을 기준으로 나눠주는 함수 응용 : 임의의 숫자 두개(공백기준으로 나눔) 입력 a,b=map(int, input().split() 3. 연산자들(** : 거듭제곱, /: 실수형 나누기 //: 정수형 나누기) 4. 파이썬에서 특수한 문자(",',\)를 입력할땐 \를 앞에 붙여야 한다. 5. int(입력, 진수) -> 몰라서 리스트로 받아서 공식써서 변환시키려고 했음 6. d=list() -> 빈 리스트 생성 7. print(내용, end..
돈 돈은 사물의 가치를 나타내며, 상품의 교환을 매개하고, 재산 축적의 대상으로도 사용하는 물건이다. 돈은 물물교환과 함께 생겨났다. 작물이 없으면 살아가기 힘든 목축인과 농업민 사이의 교환은 필수적이었다. 화폐로 선정된 것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각각 다르나 역사적인 기록으로 남아있는 것은 조개 껍데기, 베와 비단, 가축, 피혁, 주옥, 소맥 등이 화폐적 상품이었다. 이런 것을 총칭하여 자연화폐라고 한다. 자연화폐는 직접적인 물물교환을 통해 거래됐다. 그러나 인구가 늘어나고 경제규모가 커가며 물물교환의 규모 역시 커졌고, 물물교환을 중계하는 상인이 출연함에 따라 자연화폐를 대량으로 유통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상인은 소지가 편하고 부패하지 않고, 그 가치가 안정되며 거래 양측이 모두 수용하는 새로운 화폐..
일론머스크가 최근 비트코인이 환경오염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테슬라에서 비트코인 결제를 중단했다. 이게 촉발제가 되어 여러 악재 뉴스들이 튀어나오고, 비트코인은 30K까지 폭락했었다. 실제로 비트코인으로 사용하는 에너지는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1비트코인에 해당하는 금을 채굴하는데 들어가는 비용보다 1비트코인을 채굴하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소비된다. 채굴에 사용되는 장비가 소모하는 전기뿐만 아니라 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을 줄이기 위해 에어컨이 가동되기 때문에 더 큰 전력이 필요하다. 이런 채굴활동을 통해 매년 6천 900만t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고 한다. 오스트리아나 핀란드, 스위스보다 많은 양이다. 확실히 탄소배출량이 많고, 환경파괴적이다. 그럼 비트코인은 앞으로 망할 일밖에 남지 않았는가? 여기에 20..
오랜만에 글을 적는다. 주인공이 점점 강해지는 성장형 만화나 소설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재미를 반감시키는 요인은 파워인플레이션이다. 처음에 나왔던 등장인물들은 나중에 가면 뭐 주인공 새끼손가락 손톱 뗴에도 못 미치는 그런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드래곤볼의 크리링은 지구 최강이다. 근데 오공한테 딱밤 한대 맞으면 그냥 그대로 생을 마감해버린다는 거다. 이런 인플레이션은 비단 만화에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인플레이션은 자본주의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다. 인플레이션은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반대로 화폐를 제외한 모든 재화, 상품의 가치가 상승하여 물가가 오른다. 인플레이션은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화폐의 숫자가 늘어나는 것이 주요한 원인일 것이다. 2020년은 인플레이션의 해였다...
www.blade.com/Fly the Future Today - BLADEFlights between Manhattan, The Hamptons, Nantucket, New Jersey Coast, and jet service between Manhattan and Miami. Book by the seat, crowdsource a flight, or charter your own.www.blade.com* 매수 매도 추천 글이 아닙니다. BLDE는 공중 이동수단 서비스을 제공하는 회사이며, EXPC라는 SPAC주를 통해 합병 상장될 예정이다. BLDE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예시로 알아보자. 당신이 일이 있어서 부산에서, 판교에 갈 일이 생겼다고 생각해보자. 고속버스를 탄다면? 3시간 55분이 걸린다...
경쟁의 세계에는 두 가지 어휘밖에 없다. 즉 '이기느냐', '지느냐'이다. - 윈스턴 처칠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사람에게는 반드시 권해지는 길이 있다. 아니 미리 정해진 길이라고 해야할까. " 열심히 공부해서, 취업해라. " 이 말 한 번이라도 안들어 본 한국인이 있다면 나한테 돌을 던져라. 경쟁이라는 단어를 학술적으로 설명하면 프랑스어에서 경쟁(concurrence)은 '같이 달린다'는 의미이지만, 같이 달리는 것이 모두 경쟁인 것은 아니다. 달리는 방향이 같을 때에만 경쟁이 일어난다. 달리는 방향이 다르면 아무리 같이 달리더라도 경쟁의 갈등이 일어날 소지는 적다. 그래 열심히 경쟁하는 거 좋다 이말이다. 근데 지금 현재의 교육은 모두가 같은 걸 공부하고, 같은 과목을 시험보는, 모두가 같은 방향을 향하..
1972년 12월 19일 이후 국가기관에서 주도하는 유인 우주 산업이 멈추자, 민간 우주 기업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전까지 많은 민간 기업이 있어왔다. 우주탐사를 담당하는 기업이라는 아이디어는 정부기관이나 군에서 퇴직한 엔지니어들의 창업 아이템으로써 많이 손때가 묻은 아이디어였고, 그때부터 지금까지도 민간 우주기업은 계속해서 설립이 추진되거나 인수, 합병을 거치고 있지만, 절대다수는 아이디어만 멋있는 흔한 벤처기업에 지나지 않아 수익구조가 없어 장기적으로는 망해버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잘 남아서 우주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기업을 소개해보자 한다. 버진 갤럭틱은 괴짜로 유명한 리처드 브랜슨의 기업이다. 리처드 브랜슨은 난독증에 고교 중퇴자이며, 정규교육도 받지 못해 재무제표조차 잘..
1972년 12월 19일 이후 국가기관에서 주도하는 유인 우주 산업이 멈추자, 민간 우주 기업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전까지 많은 민간 기업이 있어왔다. 우주탐사를 담당하는 기업이라는 아이디어는 정부기관이나 군에서 퇴직한 엔지니어들의 창업 아이템으로써 많이 손때가 묻은 아이디어였고, 그때부터 지금까지도 민간 우주기업은 계속해서 설립이 추진되거나 인수, 합병을 거치고 있지만, 절대다수는 아이디어만 멋있는 흔한 벤처기업에 지나지 않아 수익구조가 없어 장기적으로는 망해버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잘 남아서 우주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두가지 기업을 소개해보자 한다. 첫번째는 보잉, 록히드 마틴, 노스롭 그루먼, 그리고 ULA로 대표되는 오랜 역사의 군수산업체에서 기원한 거대 경쟁사들과 대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