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돈은 사물의 가치를 나타내며, 상품의 교환을 매개하고, 재산 축적의 대상으로도 사용하는 물건이다.
돈은 물물교환과 함께 생겨났다.
작물이 없으면 살아가기 힘든 목축인과 농업민 사이의 교환은 필수적이었다.
화폐로 선정된 것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각각 다르나 역사적인 기록으로 남아있는 것은 조개 껍데기, 베와 비단, 가축, 피혁, 주옥, 소맥 등이 화폐적 상품이었다. 이런 것을 총칭하여 자연화폐라고 한다.
자연화폐는 직접적인 물물교환을 통해 거래됐다.
그러나 인구가 늘어나고 경제규모가 커가며 물물교환의 규모 역시 커졌고, 물물교환을 중계하는 상인이 출연함에 따라 자연화폐를 대량으로 유통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상인은 소지가 편하고 부패하지 않고, 그 가치가 안정되며 거래 양측이 모두 수용하는 새로운 화폐가 필요했다.
당시의 자연화폐는 시간이 지나면 부패하며, 가치가 안정적이지 않으며 거래 양측이 모두 수용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여기서 다양한 금속화폐가 등장하게 되는데, 금속화폐들은 초기 종교 또는 왕권의 아래에서 발행되어 신통력과 권력을 가진 물건이었기에 사람들 간에 인정을 받아 사용되었다.
그 중 금·은은 가치가 높고 훼손·감멸이 적으며, 품질이 일정하고 또한 생산량이 비교적 안정되어 있으므로 그 지니고 있는 가치의 변동이 적으며 이러한 여러 이유에서 금속화폐를 대표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금속화폐까지는 실질적으로 금을 모두 가지고 다니며 거래가 이뤄졌다.
그러나 국가가 등장하고, 국가 간 무역을 하는데 있어서는 금속화폐는 돈을 멀리 운반하는 것에 어려웠다.
여기서 어음시스템(나중에 금으로 지급하겠다는 증서)이 발달하게 되고, 이 어음은 17세기로 들어서며 일종의 금 보관증, 즉 종이로 유통되었다. 금 보관증을 발부한 사람을 찾아가 금보관증을 지불하면 해당 금액만큼의 금을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로 지폐의 등장이다.
거래에 실제 물질을 모두 들고다니며 거래할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과거의 지폐는 각 국가가 금을 보유한 만큼만 지폐를 찍어내는 " 고전적 금본위제 "를 채용했으나, 2차세계대전 이후 세계 금의 70%를 미국이 가지게 되면서 달러를 기축통화로 삼아 금 35온스와 교환해주는 브레튼 우즈 체제로 들어가게된다.
그러나 소련과의 냉전, 베트남 전쟁으로 인해 보유하고 있는 금 따위는 고려하지 않고 달러를 무지성으로 복사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세계 각국은 미국에게 자국이 보유하고 있는 달러를 금으로 바꿔달라고 요구하기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1971년, 닉슨 대통령은 더이상 달러를 금으로 바꿔주지 않겠다고 선언해버린다.
이후, 지폐는 금으로 바꾸기 위해 잠시 거쳐가는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 화폐가 된다.
법정화폐의 등장이다.
또한 지금까지는 모두 실제로 돈을 소지하고, 교환함으로써 거래가 일어났다.
그러나 IT기술이 발달하며 핀테크 기업들이 들어서고, 거래방법 또한 변화했다.
전자거래라는 시스템이 등장이다.
이런 핀테크 분야는 지금까지 매우 커져왔고, 앞으로도 커질 예정이다.
이처럼 화폐와 거래수단은 우리 곁에 변하지 않고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방법이 계속해서 변화해왔다.
지금까지 내용을 정리하면 이렇다.
화폐 | 자연화폐 | 금속화폐 | 어음 | 지폐 | |
거래수단 | 물물교환 | 금속의 교환 | 보증증서 교환 | 지폐의 교환 | 전자결제 |
그러나 기존의 모든 화폐는 모두 보증인이 필요했다.
금속화폐는 종교, 왕권의 보증
어음은 발행인의 보증
지폐는 은행의 보증
보증인 역시 시대를 지나면서 이전 보증인들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변화했다.
" 은행 "이라는 보증인이 보증해주는 지폐라는 시스템은 기존의 어음보다는 안정적이었으나, 역시 은행이 파산하면 자산을 보증받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뱅크런이 발생하자, 은행에 대한 믿음을 가질 수 없었던 사토시 나가모토는 은행 없이도 자산을 보관할 수 있는 비트코인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지금, 비트코인을 필두로한 가상화폐는 이더리움과 같은 플랫폼 코인을 필두로 디파이(DeFi)라는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제시하고 있다.
Decentralized Finance, DeFi는 말 뜻 그대로 탈중앙화된 금융이다.
은행 없이 금융이 돌아가게 하겠다는 것이다.
디파이가 가능하게 한 것은 다양한 암호화폐가 제공하는 스마트컨트랙트 서비스 덕분이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기존의 보증인이 빠지고 그 자리에 알고리즘이 들어가서 거래나 계약을 보증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기존의 중앙거래소가 아닌 탈중앙화 거래소가 만들어졌다.
기존의 중앙화된 거래소(Centeralized EXchange)의 단점은 수수료일 것이다. 그래서 탈중앙화거래소(DEX)는 기업이 수수료를 독점하는 방식에서 수수료를 이용자가 나누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게 어떻게 가능하냐.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A코인과 B코인을 교환한다고 하면 그 비율 유지에 유저가 참여하게 해서 거래에 발생한 수수료를 나누는 것이다.
이렇게 비율 유지에 참여하는 행위를 유동성을 공급한다고 한다. 아래는 유동성 풀의 작동설명이다.
이런 유동성 풀은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그 안정성이 커진다. 또한 투자자들이 모여 함께 보증을 하기때문에 뱅크런 같은 일은 일어날 일이 없다.
또, 비영구적손실(이것은 이후에 설명하겠다.)을 고려해 가장 안정적인 풀인 스테이블 페어(가치가 1달러에 고정되어 있는 가상자산)에 유동성을 공급해도 PancakeSwap 기준으로 현재 은행 이율보다 높은 6.78%의 연이율(단리)을 제공하고 있다.
비트코인이 거래소에서 많이 출금된다는 것은 물론 안전한 지갑에 보관하는 것도 있겠지만, 디파이시장에 많이 투자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디파이서비스에 예치되어 있는 가상자산의 규모는 62.07Billion$ (620억달러, 한화로 68조 8045억 9500만원)이며, 이 값은 비트코인 폭락으로 예치금이 많이 줄은 것이라는걸 고려할 필요가 있다.
물론 파멸적인 이율을 고려했을때(BNB-CAKE풀의 이율 연57%), 다단계 폰지사기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겠지만 자금의 규모나 개발자들이 더욱 개발에 힘을 쓰고 있기때문에 멀리까지 갔을때, 은행을 대체할만한 서비스라는 생각이 든다.
과거의 핀테크를 생각하면 더욱 그런 생각이 든다.
핀테크 시장의 규모 성장과 대표적인 핀테크 기업인 페이팔(PYPL)과 스퀘어(SQ)의 월봉을 보고 가겠다.
시장 규모 역시 6년만에 3배 이상 증가했고. 핀테크와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회사는 3년만에 5배 이상 규모가 성장한게 사실이다.
디파이 역시 그렇지 않을까
오로지 나의 생각이다.
다음글은 디파이 종류와 플랫폼 코인에 대해 적어볼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