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에 개인적 성장을 이뤄냈다면, 2023에 들어서는 개인적인 성장은 물론, 성장하는 조직을 만들고, 나의 능력을 수익화시키는 해라고 생각한다. 성장하는 조직 만들기 멋쟁이사자처럼 프론트엔드 파트장으로서 활동하며, 어떻게 하면 파트원들이 함께 성장하는 문화를 만들 수 있을지 고민했다. 가장 잘 된 것은 회고문화였다. 원래 처음생각할때는 멋사 중앙대 사이트 기능으로 넣으려 했던 기능이었는데, 기획단계에서 진행되지 않아서 노션을 통해 진행했다. 그런데 지나고 보니 오히려 노션이라서 댓글달기도 좋고, 보기도 더 편한 것 같다. 매 세션마다 배운 것들, 느낀 것들을 회고하여 공유하는 것을 통해 함께 자라는 문화를 조금이나마 멋사에 가져올 수 있었다. 더불어 이런 문화를 가져옴에 따라 작년 같은 시간대비 더..
회고
https://cau-likelion.org/ LikeLionCAU MAY I 기다리지 마세요, 메이아이하세요. 전문가-리포터 인터뷰 중개 서비스 메이아이 2022 해커톤 cau-likelion.org 시작 멋쟁이사자처럼 11기 운영진으로 활동을 시작하며 가진 목표는 함께 자라는 조직을 만드는 것이었다. 작년, 우아한 테크코스:프리코스에 참여해 진행하면서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discussion탭에서 서로의 생각과 코드를 나누고, 질문과 답변을 이어가며 함께 성장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나는 여기서 착안하여 우리도 우테코처럼 과제를 사이트로 제출하고, 제출시에 과제에 한주 회고를 작성, 그것을 공유해 읽으면서 세션과 운영을 해나가고 싶었다. 나는 그래서 이 사이트 아이디어를 투고했고, 좋은 반응을 ..
https://cauisscheduler.netlify.app/ 졸업 학점 계산기 cauisscheduler.netlify.app 배포, 광고삽입, 피드백받기까지 처음 해본 개인프로젝트이다. 시작은 그냥 내 학점 얼마남았는지 포탈에서 보기 너무 어려워서 시작했다. 배포 맨날 aws와 씨름하다 netlify로 배포하니까 그냥 고민할게 하나도 없었다. 심지어 백엔드도 없는 단독서비스라 그냥 push만 하면 1분내로 배포가 되서 너무 심플하니 좋았다. 구글 애널리틱스와 피드백 GA를 달면 내 서비스가 어느 시즌에 잘 먹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아쉽게도 에타에 올린 달(+수강신청 장바구니시즌)까지만 조금 인기였고, 이후에는 인기가 별로 없었다. 아무래도 학과 + 특정 융합전공 특화였기때문에 쓸사람은 이미 다썼다..
2022년은 군대에서 나와 사회에서 맞이하는 첫 해요, 대학에서 맞이하는 두번째 해였다. 정말 많은 것들을 경험했고, 많이 성장할 수 있었던 한해였다. 아무래도 8월까지는 한번 정리했다 보니, 이 게시글은 그 이후부터의 경험들을 적어볼 생각이다. https://0422.tistory.com/178 2022 8월까지 배우고 느낀 것들 2022년은 군대에서 나와 사회에서 맞이하는 첫 해요, 대학에서 맞이하는 두번째 해였다. 1월부터 헬스와 식단, 알고리즘 공부와 독서를 했다. https://0422.tistory.com/64?category=935822 탄수화물의 노예 : 0422.tistory.com 9월의 첫 행사는 유니톤이었다. 이 행사 전까지 나는 그래도 어느정도 생각하는 것들을 구현해 낼 수 있는 ..
멋쟁이사자처럼 10기 중앙대에서의 활동을 끝마쳤다. 사실 끝마친건 11월 30일이긴한데 시험기간이라서 이제야 적는다. 멋사를 통해서 HTML, CSS, JS의 활용을 통해 웹 문서를 만들어보고, 리액트, typescript, nextjs를 배워나가며 아이디어톤과 해커톤에서 적용시키며 많은 것을 배우고, 경험할 수 있었다. 프론트엔드 나는 백엔드로 멋사에 지원해서 합격했다. 그런데 아이디어톤을 앞두고, 트랙을 확정하기 전에 변경할 기회가 있었는데, 그때 프론트엔드로 변경하게 되었다. 사용자의 경험에 조금 더 가까이 있고, 무엇보다 작은 프로젝트에서 개발파트를 많이 가져가기 위해 바꾸었다. 그런데 이게 생각보다 잘 맞아서, 완전히 프론트엔드로 마음을 굳히게 되었다. 카모마일 https://0422.tisto..
우아한 테크코스 마지막 주차, 4주차를 진행했다. 4주차는 다리건너기 문제로, 마찬가지로 도메인 로직, 서비스로직을 분리하고 단위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 주요 목표였다. 저번주차와 다른 점은 대부분의 파일이 이미 작성되어있었고, 이것을 기반으로 작성해야 했다. 이번 주차에도 MVC 모델을 사용은 하였으나, 명확하게 디렉토리로 나누지는 않았다. 문제의 디렉토리를 이동하지 말란 조건때문이다. 그래서 App이 Controller 역할을 하고, BridgeGame과 Bridge가 모델로써 핵심 도메인 로직을 수행했다. App을 Controller로 채용한 이유는 몇개의 파일을 이동시킬 수 없어서 명확하게 컨트롤러와 모델을 구분할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결국 App은 입출력의 흐름제어만 하고, Bri..
우아한 테크코스 1주차를 진행했다. 사실 저번주에 진행했는데 회고 글을 적는게 늦어져서 지금 적는다. 1주차는 구현보다는 알고리즘 구현에 가까운 문제였다. 그러나 구현은 구현이기때문에, 제한사항에 있는 오류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설계 지금까지 코딩을 할때는 설계보다는 구현에 초점을 맞춰서 했던 것 같다. 그러나 프리코스를 진행하면서 기능명세를 적고 이를 기반으로 구현했기때문에 설계에 보다 집중 할 수 있었다. 물론, 처음에는 익숙하지가 않아서 다 짜놓고 기능명세를 적는 경우도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며 점점 익숙해질 수 있었다. 설계를 하면서 가장 많이 고민했던 점은 OOP의 클래스 개념을 도입할 것이냐 였다. 그러나 해당 미션은 기능 구현의 변동 범위가 적은 편이며, 이후에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