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아직 대학생이기에, 아직 취업을 하지 못하기에 최근에 용돈벌이용으로 외주를 시작했다.첫 외주를 진행하다가 문득, 보통 외주를 통해 개발하는 웹페이지는 구성, 기능들이 어느 정도 비슷할 수 있다 생각하게되었다. 특히 랜딩페이지와 같이 사용자 UI를 신경써야하는 부분은 더욱 그런 기능이 겹치기 마련이다. 그래서 이런 부분들을 빠르게 개발하기위해 자주 반복되는 로직을 react-hook형태로 모아보자는 다짐을 하게되었다.이번 글에서는 기본적인 설정만 간단하게(아무생각없이...) 하기에 간단하게 살펴보고, 이로인해 발생한 문제들을 다음 게시글에서 해결해 볼 것이다. 기본 설정package.json아래와 같이 구성해주었다.{ "name": "@rapiders/react-hooks", //패키지의 이름 "v..
hooks
본 게시글의 코드는 리액트 16버전을 기준으로 하고있습니다. 이전 게시글에서 reconciler 패키지의 rednerWithHooks함수를 찾았고, 거기서 훅을 주입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그럼 실제 코드를 확인하며 어떻게 훅을 주입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자. renderWithHooks 우선 함수의 인자들을 확인해보자. current와 workInProgress, Component, props, refOrContext, nextRenderExpirationTime을 받아서 사용한다. 자... 하나씩보자. 일단 current와 workInProgress는 넘어가자. Component는 실행시켜야할 함수를 말한다. (ReactElement의 tag 프로퍼티) props는 ReactElement의 props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