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의 생명주기
⇒ 메모리 공간이 확보된 시점부터 메모리 공간이 해제되어 가용 메모리 풀에 반환되는 시점까지
지역변수의 생명주기
변수는 생명주기가 있다.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서 생성되고 소멸한다.
함수 내부 지역변수는 함수가 호출되면 생성되고, 종료되면 소멸하게 된다. → 지역변수의 생명주기는 함수의 생명주기(해당 스코프의 생명주기)와 일치한다.
해당 스코프와 변수가 외부에서 참조되는 경우는 스코프는 소멸하지 않고 생존하게 된다.
전역변수는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생명주기를 갖는다.
또한, 호이스팅은 스코프 단위로 동작한다.
var x = "global";
function foo(){
console.log(x); //undefined
var x = "local";
}
foo();
console.log(x); //global
전역변수의 생명주기
전역 코드는 반환문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마지막 문이 실행되어 더이상 실행할 문이 없을 때 종료한다.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변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된다. → 변수의 생명주기가 전역객체의 생명주기와 일치하게 된다.
브라우저 단의 전역객체는 window이므로, 브라우저 환경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변수는 전역객체 window의 프로퍼티가 된다. 이는 window를 닫을 때(브라우저 종료)까지 유효하다.
전역변수의 문제점
암묵적 결합
모든 코드가 전역변수를 참조하고 변경할 수 있다.
유효범위가 커질수록 가독성은 나빠지고 의도치 않게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위험성도 높아진다.
긴 생명주기
전역변수는 생명주기가 길어서 메모리 리소스도 오래 소비한다.
또, var 키워드는 중복 선언을 허용하므로, 이름이 중복되어 의도치 않게 재할당이 일어나기도 한다.
스코프 체인 상에서 종점에 존재
전역변수는 스코프 체인 상에서 종점에 존재한다. 변수 탐색은 스코프 내,외부에서 일어나므로 함수에서 전역변수를 참조하는 경우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네임스페이스 오염
자바스크립트는 파일이 분리되어 있어도 하나의 전역스코프를 공유한다는 것이다.
예상치 못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전역변수의 사용 억제
변수 스코프는 좁을수록 좋다.
즉시 실행함수
함수 정의와 동시에 호출되는 즉시실행함수는 딱 한번만 호출된다.
모든 코드를 즉시 실행함수로 감싸게 되면 모든 변수는 즉시 실행함수의 지역변수가 된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전역변수를 생성하지 않으므로, 라이브러리 등에 자주 사용된다.
네임스페이스 객체
전역에 네임스페이스 역할을 담당할 객체를 생성하고, 전역변수처럼 사용하고 싶은 변수를 프로퍼티로 추가한다.
var MYAPP={};
MYAPP.name="Lee";
console.log(MYAPP.name);
이렇게 하면, 재할당을 방지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쉽기는 하나, 여전히 객체가 전역으로 관리되므로 유용하지는 않다.
모듈패턴
클로저를 이용하여 모듈을 만듦 → 이후 클로저에서 자세하게 확인 가능
var Counter=(function(){
var num=0;
return {
increase(){
return ++num;
},
decrease(){
return --num;
}
};
}());
console.log(Counter.num) //undefined
console.log(Counter.increase()); //1
console.log(Counter.decrease()); //0
ES6 모듈
ES6 모듈을 사용하면 전역변수를 사용할 수 없다.
ES6는 파일 자체의 독자적 모듈 스코프를 제공한다.
따라서 모듈 내부의 var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더는 전역변수가 아니고 window객체의 프로퍼티도 아니다.
<script type="module" src="index.js"></script>
이렇게 작성하면 해당 스크립트는 모듈로 작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