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란?
일련의 과정을 문으로 구현하고 코드 블록으로 감싸서 하나의 실행단위로 정의한 것
함수는 JS에서 호출할 수 있는 객체이다.
함수의 구성요소
매개변수, 인수, 반환값
function add(x,y){
return x+y;
}
add(1,5);
add가 함수이름, (x,y)가 매개변수 x+y가 반환값 {…}이 몸체이다.
add(1,5)를 통해 호출했고 1,5가 인수이다.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 편의성
- 코드의 중복을 낮추고 재사용성을 높힘
- 신뢰성
- 코드 실수가 줄어듦
- 가독성
- 적절한 함수이름을 통해 내부 코드 이해 없이도 함수의 역할 파악이 가능해짐
함수리터럴
JS함수는 객체 타입의 값이므로, 리터럴으로 생성할 수 있다.
var f=function(x,y){
return x+y;
};
함수 리터럴의 구성 요소
- 함수이름함수 이름은 함수 몸체 내에서만 참조할 수 있는 식별자이다.
- 함수 이름을 생략할 수 있다. 이름이 있는 함수를 기명함수, 없는 함수를 익명함수라 한다.
- 함수 이름은 식별자이므로 식별자 네이밍 규칙을 준수한다
- 매개변수 목록각 매개 변수에는 함수를 호출할 때 지정한 인수가 순서대로 할당된다.
- 매개변수는 함수 몸체 내에서 변수와 동일하게 취급된다. → 네이밍 규칙을 준수한다.
- 0개 이상의 매개변수를 소괄호로 감싸고 쉼표로 구분한다.
- 함수몸체함수 호출에 의해 실행된다.
- 호출되었을때 일괄적으로 실행될 문들의 실행단위로 정의한 코드블록이다.
함수 정의
함수의 호출전에 인수를 받을 매개변수와 실행할 문들, 반환할 값을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방법에는 4가지가 있다.
함수 선언문
function add(x,y){
return x+y;
}
함수선언문은 함수 이름을 생략할 수 없다.
함수선언문은 표현식이 아닌 문이다. → 값으로 평가되지 않는다.
다만, 변수에 할당될 수 있다. 이는 기명함수 리터럴은 함수 선언문 또는 함수 리터럴 표현식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변수에 할당되는 경우 함수 리터럴 표현식으로 해석하기때문에 가능하다.
함수 선언문은 암묵적으로 함수이름에 해당하는 식별자를 만든다.
해당 식별자에 함수 객체를 할당하여 함수 몸통 외부에서도 호출할 수 있게 한다.
즉, JS의 함수는 함수 이름으로 호출하는 게 아니라 함수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로 호출한다.
var add = function foo(x,y){
return x+y;
}
console.log(add(2,5)); //7
console.log(foo(x,5)); //ReferenceError: foo is not defined
함수 표현식
var add = function(x,y){
return x+y;
};
함수는 일급객체이다. 즉, 값의 성질을 갖는다.
- 값처럼 변수에 할당딘다.
- 프로퍼티 값이 될 수 있다.
- 배열의 요소가 될 수 있다.
함수 표현식으로 정의된 함수는 표현식이 나오기 전까지 사용할 수 없다.
console.log(add); //[Function]
console.log(foo); //undefined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함수 호이스팅
var foo = function () {
console.log('foo');
}; //변수 호이스팅
Function 생성자
var add = new Function('x','y','return x+y');
일반적이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
이렇게 생성한 함수는 클로저를 생성하지 않는다.
화살표 함수(ES6)
var add = (x,y) => x+y;
화살표를 사용해 간력하게 함수를 선언함
화살표 함수는 항상 익명함수이다.
표현방식 뿐 아니라 동작도 간략화되어있다.
- this 바인딩 방식이 다름
- prototype프로퍼티가 없음
- arguments객체를 생성하지 않음
함수 호출
함수식별자와 함수호출연산자()로 호출된다.
호출시 실행흐름을 중단하고 해당 함수로 실행흐름을 옮긴다. 이때 매개변수에 인수가 할당되고 몸체의 문들이 실행된다.
- 함수가 호출될 때 몸체 내에서 암묵적으로 매개변수가 생성되고, undefined로 초기화 된 이후 인수가 할당된다.
- 매개변수는 함수 내부에서만 유효하다.
- 함수는 매개변수의 개수와 인수의 개수가 일치하는지 체크하지 않는다.
인수가 더 많은 경우, 초과된 인수는 결과에 무시되며, 암묵적으로 arguments 객체의 프로퍼티로 보관된다.function add(x,y){ return x+y; } add(7) //NaN(7+undefined)
function add(x,y){ console.log(arguments); //[Arguments] { '0': 2, '1': 5, '2': 7 } return x+y; } add(2,5,7) //7
- 인수가 할당되지 않는경우, 값은 당연하게도 undefined이다.
인수
매개변수의 최대개수는 3개 이상을 넘지 않도록 한다.
함수는 한가지 일만 해야하며, 가급적 작게 만든다.
객체를 인수로 받는경우, 부수효과에 주의한다.
반환문
return 키워드와 표현식으로 이뤄진 반환문을 통해 실행 결과를 함수 외부로 반환한다.
반환문의 역할
- 함수의 실행을 중단하고, 함수 몸체를 빠져나간다. → 이후의 코드는 실행되지 않는다.
- 반환문은 return 키워드 뒤에 오는 표현식을 평가해서 반환한다. 이후 값이 명확하지 않으면 undefined를 반환한다.
- 반환문은 생략할 수 있다. 암묵적으로 return;을 실행한다.
- 반환문은 함수 몸체내부에서만 사용한다.
참조에 의한 전달과 부수효과
function changer(primitive, obj) {
primitive += 100;
obj.name = 'Kim';
}
var num = 100;
var person = {
name: 'Lee',
};
console.log(num, person);
changer(num, person); //객체 훼손됨
console.log(num, person);
원시값은 복사되어 전달되므로 원래 값이 훼손되지 않는다.
객체는 참조값이 복사되어 전달되므로, 원래 값이 훼손되게 된다.
⇒ 코드의 복잡성을 증가 시키고 가독성을 해치며, 결국은 유지보수가 힘든 코드가 된다.
다양한 함수 형태
즉시 실행함수
(function(){})();의 형태로 한번 호출할 수 있으며, 다시 호출할 수 없다.
반드시 그룹연산자(())로 감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함수 선언문으로 해석하여 에러가 발생한다.
값으로 바로 평가하여 함수 객체를 만들 수 있는 것이면 그룹연산자가 아니어도 된다. +,!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재귀함수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
반드시 탈출조건을 만들어야 함
중첩함수
함수 내부에 정의된 함수
외부함수의 내부에서만 사용가능함
내부 함수가 헬퍼함수 역할을 함
콜백함수
중첩함수의 내부함수를 함수의 인자로 전달하여 함수를 유연하게 만드는 것
받는 함수를 고차함수라 함
순수함수
외부 상태를 변경하지 않고, 외부 상태(전역변수, 서버데이터, 파일, Console, DOM)에 의존하지도 않는, 부수효과가 없는 함수
외부 상태에 의존하지 않아도 내부 상태가 계속해서 변화하면(현재시각) 순수함수가 아님
반대를 비순수함수라고 함
순수함수는 일반적으로 최소 하나 이상의 인수를 전달받음.
순수함수와 보조 함수의 조합을 통해 외부 상태를 변경하는 부수효과를 최소화 하여 불변성을 지향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라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