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계층과 TCP/IP 4계층
OSI 7계층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모델의 표준으로 초기 장비차이로 인한 호환성 문제 극복을 위해 표준과 학습도구로 제작되었음
캡슐화
데이터 전송시 7계층에서 1계층으로 각각의 층마다 인식 할 수 있는 헤더를 붙임
디캡슐화
수신자는 반대로 헤더를 떼어내며 데이터만을 얻음
OSI 7계층 각 영역별 기능을 정리한 블로그 링크
[네트워크] OSI 7 계층 (OSI 7 LAYER) 기본 개념, 각 계층 설명
네트워크의 기초 OSI 7 계층
velog.io
TCP/IP 4계층
7계층을 기반으로 상업적이고 실무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단순화 한 것임
OSI 7계층에서 작동하는 장비와 그 역할
물리계층
리피터 : 전기 신호를 증폭시킴
허브 : 회선의 통합관리를 함
데이터링크계층
브리지, 스위치 : 두개의 LAN이 연결된 경우 이들을 연결하는 역할 -> 데이터링크계층
브리지 :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연결함
스위치(L2) : 하드웨어 방식으로 연결함 -> 속도가 빠름
다만 스위치는 종류가 여러개이며 그 역할과 작동하는 구간이 각각 다름
https://kkamagistory.tistory.com/205
L2, L3, L4 스위치 정의 및 개념 정리
L2, L3, L4 스위치 정의 및 개념 정리 1. 스위치의 정의 . 허브의 확장된 개념으로 기본 기능은 허브와 동일하지만 전송 중 패킷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패킷의 목적지로 지정할 포트를 직접 전
kkamagistory.tistory.com
네트워크계층
라우터 :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한다. 다양한 라우팅 알고리즘(RIP, OSPF, IGRP, BGP 등)이 존재함
https://dolphins-it.tistory.com/239
라우팅 프로토콜(LS 알고리즘과 DV 알고리즘)
Routing -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 - 패킷 전송이 이루어지기 전 경로 정보를 라우터가 미리 저장하여 중개 - 단점으로는 경로 정보의 갱신이 어려워 네트워크 변화와 혼잡도에 대한 대처가 어렵다
dolphins-it.tistory.com
응용계층
게이트웨이 : 서로 다른 네트워크 망을 연결해주는 장비
OSI 7계층에서 작동하는 프로토콜들
어플리케이션 | HTTP, FTP, DNS, SSL, DHCP, SNMP |
표현 | TLS, SSL |
세션 | |
전송 | TCP, UDP |
네트워크 | IP, ICMP, IGMP |
데이터링크 | Ehernet, PPP, ARP, RARP |
물리 |
프로토콜 설명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80번 포트
www상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 프로토콜로, 주로 HTML 문서를 주고 받는데 사용되고, TCP와 UDP를 사용함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l) : 25번 포트
인터넷 이메일 송수신을 위한 프로토콜
FTP(File Transfer Protocol) : 데이터 전달 20번 포트, 제어정보 전달 21번 포트
컴퓨터 간 파일 전송을 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SSL(Secure Socket Layer), TLS(Transport Layer Security) http(ssl)의 경우 443을 사용
네트워크 레이어의 암호화방식 http, hntp, ftp에서 사용함
SSL이 발전 한 것이 TLS
인증, 암호화, 무결성을 보장하는 프로토콜
DNS(Domain Name System) : 53번 포트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IMAP(Internet Messaging Access Protocol) 143번 포트
서버에서 이메일을 읽는 프로토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클라이언트는 68번, 서버는 67번 사용
동적 아이피 할당 프로토콜
TCP(Transport Congrol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로, 신뢰성을 보장하고 흐름제어, 혼잡제어를 해준다.
Three Way Handshake
1) SYN : 통신 요청
2) SYN-ACK : 통신 응답
3) ACK : 2)의 메세지에 응답
UDP(User Datagram Protocol)
TCP에서 모든 신뢰성 기능을 빼면 된다. 그래서 가볍고, 속도가 빠르다.
IP(Internet Protocol)
각 장치의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주소를 규정한 프로토콜
IPv4
32비트(4바이트) 논리구조
000.000.000.000의 형태로 구성
Aclass
네트워크주소.000.000.000으로 구성
앞자리에 0~127을 사용함
Bclass
네트워크주소.네트워크주소.000.000으로 구성
앞자리에 128~191을 사용함
Cclass
네트워크주소.네트워크주소.네트워크주소.000으로 구성
192~223사용
Dclass
멀티캐스트용으로 사용
224~239까지 사용
Eclass
실험용
240~254까지 사용
IPv6
128비트(16바이트)사용
16진수 8개로 구성함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 제어 메세지 프로토콜
ping이나 traceroute에서 사용하게 된다.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IPTV에 쓰이는 핵심적인 프로토콜
PPP(Point to Point Protocol)
다른 업체의 소프트웨어들이 연결하여 tcp/ip프로토콜로 통신 할 수 있게 제정된 규약
이전의 모뎀 통신을 생각해보면 된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주소와 MAC주소를 연결해 주는 용도로 사용
IP주소에서 MAC주소를 얻음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의 반대 개념
과거 하드디스크가 없던 단말이 부팅할 경우 ip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채로 부팅되는데, 자신의 mac주소를 통해 서버에게 ip를 물어보고, 이를 통해 ip를 할당하는 프로토콜이다.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정리
OSI 7계층 | TCP/IP 4계층 | 프로토콜 | 장비 | 데이터 이름 |
응용 | 응용 | HTTP(80), FTP(20, 21), SMTP(25), SSL(443), DNS(53) | 게이트웨이 | 메세지 |
표현 | SSL, TLS | |||
세션 | ||||
전송 | 전송 | TCP, UDP | 데이터그램, 세그먼트 | |
네트워크 | 인터넷 | IP, ICMP, IGMP | 라우터 | 패킷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엑세스 | Ehernet, PPP, ARP, RARP | 스위치(L2), 브릿지 | 프레임 |
물리 | 리피터, 허브 | 전기신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