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스트캠프 멤버십 그룹프로젝트 3주차를 마쳤다. 벌써 4주차다... 2주차 밖에 남지 않았다. 배운 것 이번주는 꽤나 많은 도움을 받은 한 주였다. 도움을 줄때도 기분이 좋지만, 이제는 도움을 받을때도 참 기분이 좋다. 그 사람이 나를 위해 시간을 내고, 같이 고민해줬다는 것에 참 감사하다. 개발 환경 개선하기 이전 주에 구현했던 내용들에 엣지케이스가 상당히 많아서 이번주에는 이 부분을 개선하려고 노력을 많이 했다. 그러나 우리 서비스의 경우에는 쿠키를 통해 토큰을 전송하기에, 로컬-배포환경의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이걸 해결하지 못하면 개발시에 오류를 만나보지 못하게 되고 배포하기 전까지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맞이했다. 지금까지 개발-로컬환경의 차이가 이렇게 크게 나는 경우(로컬에서 ap..
그룹프로젝트
부스트캠프 멤버십 그룹프로젝트 3주차를 마쳤다. 세상에 벌써 3주차가 끝났단말이야? 배운것 이번 주는 코드적인 부분을 많이 학습할 수 있었다. Context API는 상태관리 도구가 아니다. 모든 시작은 Modal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했다. 요런 고민들을 했었는데, 이런 고민들을 멘토님께 공유드리니, 멘토님께서 이것 뿐만 아니라 모달이 여러개라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을 던져주셨고, @ebay/nice-modal-react라이브러리를 알려주시며 해당 구조를 한번 살펴보라고 해주셨다. 그래서 무작정 코드를 뜯어보기 시작했는데, 여기서 Context API를 사용해서 모달을 관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상태라기보다는 값 관리를 위해 Modal 고유의 ID를 주입한다던지... 이런식으로 사용..
부스트캠프의 그룹프로젝트 2주차를 마쳤다. 배운것 왜? 를 조금 더 날카롭게 사실 이전까지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현재 상태로는 구현이 불가능하다 싶으면 찾아봤을때 가장 먼저 나오는 라이브러리를 아무 생각없이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기 일수였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부터는 왜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하는가? 를 조금 더 고민했다. 왜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하는가? 를 고민해야하는 이유는 여러가지를 되짚어보며 명확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1. 우리가 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2.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3. 우리가 겪는 문제의 본질은 무엇인가? 4. 그 문제의 본질을 이 라이브러리가 해결해 줄 수 있는가? 5. 이 라이브러리보다 더 여러 가지 기준에서 더 나은 라이브러리는 없는가? ..
부스트캠프의 그룹프로젝트 1주차를 마쳤다. 배운 것 프로젝트를 관리하는법 지금까지 나는 여러 프로젝트를 했지만, 뭔가 체계적으로 한다기보다는 오늘은 요걸 해보자! 라고 즉흥적으로 정해서 하기 일수였다. 그래서 프로젝트가 생각보다 일찍 끝나거나, 혹은 매우 늘어지기도 했다. 이번 주차에는 그렇지 않기위해서 스크럼 방식을 통해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었다. 정말 좋은 방법이고, 앞으로 반드시 이런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해야겠다는 다짐을 했다. 스크럼 스크럼은 복잡한 제품을 개발하고, 배포하고, 유지하기위한 프레임워크다. 이걸 여기서 아무리 설명해봤자 감이 오지 않을 것이다. 백로그 백로그란 완료되지 않은 작업 항목들의 리스트나 목록이다. 일종의 팀의 todo list 같은 것이다. 백로그는..